QLD ETF (나스닥 100 2배 레버리지) 배당률 장기투자 해도 될까?
이번 글에서는 미국 레버리지 ETF 중에서도 많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QLD ETF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나스닥 100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 ETF로 높은 수익 가능성만큼 리스크도 큰 투자 상품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QLD ETF의 특징 및 포트폴리오, 그리고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QLD ETF란?
QLD ETF(ProShares Ultra QQQ)는 미국 ProShares에서 운용하는 레버리지 ETF로, 나스닥 100 지수의 일일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즉 나스닥 100 지수가 하루 동안 1% 상승하면 QLD는 약 2% 상승하고, 반대로 1% 하락하면 약 2% 하락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 티커 심볼: QLD
- 운용사: ProShares
- 기초지수: 나스닥 100 지수
- 레버리지 비율: 2배(일일 기준)
- 운용보수(Expense Ratio): 0.95%
- 배당: 연 4회 분기 배당
- 설정일: 2006년 6월 19일
- 총 운용자산: 약 52억 달러(2025년 4월 기준)
2006년 6월 19일에 상장된 이후 현재 약 52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 중이며, 운용보수는 연 0.95%로 책정이 되어 있습니다.
QLD가 추종하는 나스닥 100 지수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등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주들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그렇다 보니 기술 산업에 대한 레버리지 투자를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험 또한 일반 ETF보다 높다는 점을 항상 염두에 두고 투자를 하셔야 합니다.
QLD ETF 배당
QLD ETF는 분기별로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으나 배당 수익률은 약 0.32%로 높지 않은 편입니다.
배당금도 들쭉날쭉한 편이라 배당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투자자들에게는 그닥 적합하지 않은 상품이라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최근 배당내역만 간단히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2025년 3월 26일: $0.0256
- 2024년 12월 23일: $0.0614
- 2024년 9월 25일: $0.0515
- 2024년 6월 26일: $0.1060
- 2024년 3월 20일: $0.0554
QLD ETF 포트폴리오 살펴보기
QLD ETF는 2025년 4월 기준으로 총 111개의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상위 10개 종목이 전체 자산의 약 45.1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보유 종목으로는 애플(7.53%), 마이크로소프트(6.96%), 엔비디아(6.30%), 아마존(4.66%) 등이 있어요.
종목명 | 비중 (%) |
Apple Inc. (AAPL) | 7.53% |
Microsoft Corp. (MSFT) | 6.96% |
NVIDIA Corp. (NVDA) | 6.30% |
Amazon.com Inc. (AMZN) | 4.66% |
Broadcom Inc. (AVGO) | 3.37% |
Meta Platforms Inc. (META) | 2.80% |
Costco Wholesale Corp. (COST) | 2.76% |
Alphabet Inc. Class A (GOOGL) | 2.30% |
Tesla Inc. (TSLA) | 2.21% |
Alphabet Inc. Class C (GOOG) | 2.20% |
이 외에도 브로드컴, 메타 플랫폼스, 코스트코, 알파벳, 테슬라 등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주와 소비재, 통신 서비스 기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포트폴리오 구성을 보면 기술 산업의 성장에 베팅하는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는데요.
특히 AI, 클라우드 컴퓨팅, 전자상거래 등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기업들이 대거 포함되어 있어, 해당 산업의 성장과 함께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기술 섹터의 전반적인 하락 시 더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최근 5년간 주가 흐름 살펴보기
QLD ETF의 과거 성과를 살펴보면 시장 상황에 따라 극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0년부터 2021년 중반까지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기술주 중심의 강한 랠리 덕분에 QLD도 급격히 상승을 하다가,
2021년 말부터 2022년까지는 금리 인상과 인플레이션 우려, 기술주 중심의 조정으로 약세로 전환되었습니다.
(당시 주가가 100달러 부근에서 40달러대 중반까지 급락했는데, 2배 레버리지 구조 때문에 하락폭이 더욱 컸습니다.)
2023년부터 2024년 중반까지는 시장 반등에 따라 QLD도 회복세를 보이며 다시 110달러 이상까지 상승하는 등 엄청난 반등을 보여주었습니다.
하지만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는 다시 조정을 받으며 120달러 근처에서 피크를 찍고 급락했고, 현재(25년 4월 말 기준)는 82~83달러 선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레버리지 상품이다 보니 강세장에서는 급등하고 약세장에서는 급락하는 패턴이 명확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그렇기에 QLD 투자 시에는 시장 타이밍과 자신의 투자 전략을 명확히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투자 시 유의사항 (장기투자 해도 될까?)
QLD ETF에 투자하려면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요?
QLD는 일일 수익률을 기준으로 2배의 레버리지를 제공하기 때문에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 트레이딩에 더 적합합니다.
장기간 보유 시 복리 효과로 인해 실제 수익률이 기초 지수의 2배와 괴리될 가능성이 높으니 주의하시길 바래요.
또한 높은 변동성을 감안한 투자 비중 조절이 필요합니다.
포트폴리오의 전체를 QLD와 같은 레버리지 ETF에 투자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비중 조절이 중요한데요.
전문가들에 따르면 레버리지 ETF의 비중을 전체 포트폴리오의 10~20% 이내로 유지할 것을 권장한다고 합니다.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리밸런싱 역시 필수입니다.
QLD는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크게 변동하므로 정기적인 포트폴리오 점검 및 비중 조절을 하시는 것 잊지 마시길 바랍니다.
(큰 상승 시 수익 실현, 큰 하락 시 추가 매수 기회 고려)
지금까지 나스닥100 2배 레버리지 상품인 QLD ETF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 투자를 통해 수익을 내고자 하는 분들, 높은 변동성과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투자자에게 비교적 적합한 상품이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제 성향과 맞지 않아 따로 투자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투자 성향과 목표에 QLD가 적합한지 신중하게 판단하시고 투자 결정을 내리시면 좋을 것 같네요.
오늘 내용은 여기까지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ETF 비교 방법 알아보기 (수수료 보는 법, 수정기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