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DVO ETF 알아보기 (DIVO의 기술주 버전 월배당 ETF)

QDVO ETF 알아보기 (DIVO의 기술주 버전 월배당 ETF)

최근 JEPQ, QQQI 등 나스닥 기반의 커버드콜 ETF들이 월배당 투자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오늘 알아볼 QDVO ETF는 출시된 지 이제 1년이 조금 넘은 신생 ETF인데요.

현존하는 가장 완벽한 커버드콜 상품이라는 평가까지 받고 있다고 하더라고요. 하지만 세상에 완벽한 투자상품은 없는 만큼 리스크는 없는지에 대해서도 잘 살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금부터 구체적으로 어떤 ETF이고 어떤 운용 전략을 취하고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QDVO ETF 알아보기 (DIVO의 기술주 버전 월배당 ETF)

QDVO ETF 기본정보

  • 티커: QDVO
  • 정식 명칭: Amplify CWP Growth & Income ETF
  • 운용사: Amplify ETFs (자문: Amplify Investments LLC, 하위 자문: Capital Wealth Planning, LLC)
  • 상장일: 2024년 8월 22일 (미국 기준)
  • 자산규모: 약 3억 1,189만 달러 (한화 약 4,200억 원)
  • 상장 거래소: NYSE Arca
  • 운용보수: 0.55%
  • 운용 방식: 액티브(Active) 운용
  • 배당 주기: 월배당(Monthly)
  • 배당률 : 연 환산으로 약 9% 수준

QDVO는 S&P 500 기반의 월배당 ETF인 DIVO를 운용하는 Amplify사에서 출시한 액티브 커버드콜 ETF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DIVO의 운용 전략을 기술주 중심의 포트폴리오에 적용한 상품이라고 보면 될 것 같은데요.

많은 나스닥 커버드콜 상품들이 QQQ ETF를 그대로 따라가는 것과 달리 QDVO는 러셀 1000 지수 내의 우량 기업들을 기초자산으로 삼는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출시된 지는 얼마 되지 않은 신생 ETF이지만 성과는 놀라운 수준인데요.

특정 기간에는 나스닥 지수를 추종하는 QQQ보다도 높은 토탈 리턴(주가 상승+배당)을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한 몸에 받기도 했습니다.

이는 단순히 높은 배당률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주가의 꾸준한 성장까지 함께 추구하는 QDVO만의 전략 덕분으로 볼 수 있는데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QDVO 운용 전략

기존 커버드콜 ETF들이 지수 전체에 대한 콜옵션을 매도하는 것과 달리, QDVO는 개별 종목을 대상으로 선별적인 커버드콜 전략을 구사합니다.

조금 더 쉽게 풀어 설명해 볼까요?

QDVO는 먼저 러셀 1000 지수 내에서 현금 흐름과 수익성이 뛰어난 우량 기술주 20~40개를 펀드 매니저가 직접 선별하여 포트폴리오에 담습니다.

이것이 성장을 담당하는 첫 번째 축이죠.

그리고 이 편입된 종목들 중 일부에 대해서만 콜옵션을 매도하여 매월 꾸준한 프리미엄(배당의 재원)을 확보합니다.

이렇게 포트폴리오 내 모든 종목이 아닌 일부 종목에만 옵션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승장에서 나머지 주식들의 주가 상승 분을 놓치지 않고 따라갈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즉 옵션을 통해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들면서도 나머지 주식들을 통해서는 시장의 성장을 온전히 누리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전략인 셈입니다.

이미 DIVO를 통해 그 실력이 검증된 펀드 매니저들이 직접 운용하기에 더욱 신뢰가 가는 부분입니다.

QDVO ETF 장점

투자자 입장에서 QDVO 투자 시 장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주가 성장과 안정적 배당의 균형감
QDVO는 연 9% 수준의 결코 낮지 않은 배당을 매월 지급하면서도 주가 역시 꾸준히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배당만 받다가 원금이 깎여나가는 일부 고배당 커버드콜 상품들의 단점을 현명하게 보완한 형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배당 성장까지 기대해 볼 수 있는 구조라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 변동성 관리 능력
QDVO는 MDD(최대 낙폭 지수)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하락장에서 뛰어난 방어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은퇴 자금을 운용하거나 변동성이 큰 시장에 대한 불안감을 가진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수익률은 챙기되 안정성은 높인 이상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죠.

QDVO 단점 및 리스크

물론 QDVO에도 단점과 잠재적 리스크는 분명히 존재합니다.

가장 먼저 커버드콜 전략의 태생적 한계인 폭발적인 상승장에서의 수익률 제한입니다.

주가가 급등하는 시기에는 옵션을 매도하지 않은 순수 지수 추종 ETF에 비해 수익률이 뒤처질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펀드 매니저의 역량에 성과가 크게 좌우되는 액티브 펀드라는 점도 인지해야 합니다.

지금까지는 훌륭한 성과를 보여줬지만, 앞으로도 계속 시장을 뛰어넘는 성과를 낼 것이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운용보수도 0.55%로 패시브 ETF에 비해 다소 높은 편입니다.)

게다가 아직 운용 기간이 짧고 자산 규모(AUM)가 크지 않은 신생 ETF라는 점도 유념하시길 바랍니다.

자산규모가 적을 경우 거래량이 부족하여 원하는 가격에 매수, 매도하기 어려울 수 있는 유동성 리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참고로 자산규모의 경우 QDVO가 약 3억 달러인데 반해 JEPI는 약 350억 달러, JEPQ가 약 120억 달러 정도 됩니다.


지금까지 QDVO ETF에 대해 운용전략 및 장단점 위주로 살펴보았습니다.

안정적인 월배당 현금흐름을 만들면서도 기술주의 성장 과실을 놓치고 싶지 않은 분,

혹은 기존에 DIVO나 JEPI에 투자하면서 성장성에 대한 아쉬움을 느끼셨던 분들에게 매력적으로 느껴질만한 상품이 아닐까 싶네요.

다만 리스크도 존재하는 민큼 신중한 고민 후 판단을 내리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내용은 여기서 마무리하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 이 글은 특정 종목에 대한 매수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에이트코 홀딩스 주가 5600% 폭등했던 이유 (+월드코인 시세)

AI 버블, 과연 존재할까? (워렌 버핏이 AI에 직접 투자하지 않는 이유)

리플 전망 시세 어디까지 갈까? (2025년 최신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