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자급제폰 뜻 그리고 장단점에 대해 비교하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과거에는 휴대폰을 구매할 때 통신사 대리점을 통해서 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스마트폰도 통신사별로 출시되어 해당 통신사를 이용하는 경우에만 기기를 이용할 수 있었죠.
하지만 최근에는 자급제폰이 활발히 유통되면서, 자급제폰을 찾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통신사를 원하는 대로 선택이 가능하고, 자유도도 높기 때문인데요.
메이저 통신사(STK, KT, LG U+) 대리점을 통해 구매할 경우 공시지원금 제도를 통해 기기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긴 하지만,
5G요금제가 워낙 비싸다보니, 기기를 자급제로 구매하고 저렴한 알뜰폰 요금제를 이용하는 게 장기적으로 보면 더 이득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자급제폰 뜻에 대해 알아보고, 자급제폰의 장단점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급제폰 뜻
자급제폰 뜻은 통신사의 제약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게 출시한 기기를 뜻합니다.
쉽게 생각해 삼성, 애플과 같은 제조사에서 개통되지 않은 공기계를 직접 구매하는 핸드폰을 자급제폰이라고 할 수 있어요. 단말기 자급제는 2012년 5월부터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특히 아이폰의 경우 자급제로 구매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아이폰은 공시지원금이 매우 적게 책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자급제+알뜰폰 요금제 조합이 훨씬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알뜰폰은 메이저 통신사인 SKT, KT, LG U+의 통신 인프라를 중소형 통신 업체에서 임대해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케이티 엠모바일(KT M MOBILE), LG헬로모바일 등이 있습니다.
자급제폰 장점
통신사의 제약이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메이저 통신3사 뿐 아니라 알뜰폰 통신사의 요금제까지 모두 사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하면 통신비를 거의 절반 이상 절약할 수 있어요.
공시지원금이 없기 때문에 기기값이 조금 부담될 수는 있지만, 알뜰폰 요금제로 통신비를 아낄 수 있으니 결국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이득인 셈입니다.
통신 3사의 경우 공시지원금이 높게 책정되더라도 요금제 자체가 기본적으로 비싼 편입니다.
25% 선택약정 할인이 있긴 하지만 공시지원금을 받았을 경우 일정 기간이 지나야 선택약정 할인을 받을 수 있으며, 12개월, 24개월 단위로 약정을 걸어야만 할인을 받을 수 있죠.
하지만 자급제폰으로 알뜰폰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일단 기본적으로 요금이 저렴할 뿐 아니라, 더 저렴한 요금제가 나왔을 때 언제든지 갈아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죠.
또한 약정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약금 걱정없이 내가 원하는 때에 언제든지 기존에 사용하던 자급제폰을 팔고 새 폰으로 교체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자급제폰 단점
공시지원금 혜택이 없고, 단말기 대금을 한번에 지불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만 앞서 이야기했듯 알뜰폰 사용으로 할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쇼핑몰, 카드사별로 무이자 할부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잘 활용하면 이는 큰 단점이 되진 않는 것 같습니다.
기존 통신3사 중 특정 통신사의 요금제를 온가족이 함께 사용하면서 인터넷, TV 등을 결합할인 받고 있는 경우, 알뜰폰 요금제로의 변경 시 이러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없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만약 이러한 경우라면 결합할인을 받을 때와 자급제폰을 사용할 때 드는 총 비용(핸드폰+인터넷+TV 요금을 합친 총 비용)을 서로 비교해보는 것이 필수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고 자급제폰 구매 시 주의사항
만약 중고로 자급제폰을 구매하고자 할 경우, 분실/도난 핸드폰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이에 대비해 IMEI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미리 알아두면 좋습니다.
IMEI는 단말기고유식별번호라고도 불리우는데, 휴대전화마다 지니고 있는 15자리의 고유 번호를 의미합니다.
이 번호를 이용해 분실, 도난 단말기 여부를 미리 조회할 수 있습니다.
아래 ‘이동전화 단말기 자급제’ 사이트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참고로 중고 자급제폰 구매 후 메이저 통신3사에서 선택약정 할인(25%)을 받고자 한다면 해당 중고폰이 공시지원금할인 받은 이력이 없어야 하는데요.
공시지원금할인을 받았더라도 위약금을 납부해 정상해지된 핸드폰이면 선택약정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역시 IMEI번호로 조회가 가능한데, 아래 페이지에서 조회했을 때 요금할인대상이라고 나오면 할인받은 이력이 없거나 정상적으로 해지된 기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메이저 통신 3사 이용 시 25% 선택약정 할인을 신청해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자급제폰 뜻과 장점, 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개인적으로 자급제폰+알뜰폰 요금제의 조합으로 5년 넘게 쭉 사용해오고 있는데, 큰 불편함 없이 사용중입니다.
매달 만원 중반대의 요금으로 데이터와 통화를 모두 무제한으로 사용하고 있으니 만족도가 정말 큰 것 같아요.
다만 알뜰폰 역시 결합할인이 되지 않거나 멤버십 혜택이 부족한 등 일정한 단점이 존재하고, 사람에 따라 맞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꼼꼼하게 살펴보고 선택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