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식 못갈 때 축의금 얼마나 내야 할까?

결혼식 못갈 때 축의금 얼마나 내야 할까?

이번 글에서는 결혼식 못갈 때 축의금 얼마나 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결혼식에 초대를 받으면 항상 고민하게 되는 문제가 있죠. 바로 축의금입니다.

요즘 물가 상승으로 식대가 많이 오르다 보니 결혼식에 참석해 밥을 먹는 입장에서 그래도 10만 원 이상은 해야 욕을 먹지 않는(?)다고 하는데요.

그럼 결혼식 못갈 때 축의금은 덜 내도 될까요? 지금부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결혼식 못갈 때 축의금 얼마나 내야 할까?

축의금 기준 (관계에 따른)

일단 참석을 한다는 기준 하에 관계별 축의금 기준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축의금을 결정할 때 고려하게 되는 것 중 하나는 신랑신부와의 관계가 아닐까 싶은데요.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 직장 동료 등 관계의 깊이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족이나 친한 친구처럼 가까운 사이일수록 축의금 금액이 좀 높아지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30만 원 이상을 준비하는 보통입니다. 특히 가까운 가족이나 절친이라면 축의금 외에 개인적인 선물을 준비하는 경우도 많죠.

반면 친한 직장 동료나 일반 친구라면 10만 원에서 20만 원 사이가 적당한 금액으로 여겨집니다. 서로 친밀한 관계지만 가족만큼 가깝지는 않기 때문에 이 정도가 적절합니다. (개인적으로 10만원 정도면 적정하다고 봅니다.)

만약 그닥 친하지 않은 지인이나 자주 연락하지 않는 사람이라면?

이런 경우에는 5만 원에서 10만 원 사이의 금액이면 충분합니다. 축하의 뜻을 전하면서 적당히 예의를 지키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 좋습니다.

결혼식 못갈 때 축의금 얼마 낼까?

결혼식에 참석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축의금 금액도 조정될 수 있습니다.

참석할 경우에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식사 비용 등을 고려해 최소 10만 원 이상의 금액을 준비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물론 사람마다 생각이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이 정도가 적합하다고 여기는 분들이 많은 듯 해요.

만약 불가피한 사정으로 결혼식에 참석하지 못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일반적으로 참석하지 않을 경우 축의금을 30%~절반 정도 줄이는 것이 관례입니다.

원래 10만원을 낼 거였다면 5만 원에서 7만 원 정도만 전달해도 적당하다고 봅니다.

(물론 꼭 이렇게 해야 하는 건 아니고 내가 그냥 10만원을 보내고 싶다면 10만원을 보내셔도 됩니다!)

센스있게 축의금 전달하는 법

축의금을 준비할 때는 금액뿐만 아니라 전달 방식에도 신경을 조금 써 주시면 좋은데요.

먼저 깨끗한 봉투를 준비하고 봉투 앞면에는 ‘축결혼’, ‘축화혼’ 등의 문구를 적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봉투 뒷면에는 자신의 이름과 소속을 기입하여 누가 보낸 것인지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가능한 한 신권을 사용하는 것이 예의에 맞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신권은 새로운 시작을 축복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도 합니다.

그리고 축의금의 금액은 홀수로 맞추는 것이 전통적으로 길하다고 여겨지니 이 점도 참고하시길 바래요. 5만 원, 7만 원, 10만 원, 30만 원, 50만 원… 이런 식으로 홀수로 정하는 게 좋습니다.


지금까지 결혼식 못갈 때 축의금 얼마나 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금액보다 중요한 것은 마음이 아닐까 싶은데요.

오늘 알려드린 내용은 최소한의 기준이다, 정도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정리해 드린 내용을 참고하셔서 적절한 축의금을 준비해 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아보하 뜻 의미 유래 (2025년 10대 소비트렌드 키워드)

신혼부부 특별공급 조건, 소득 및 자산기준 정리